영어공부/문법

관계대명사 총 정리 / 접속사 총 정리 / that : 관계대명사, 접속사, 동격 비교 / 계속적용법

KanzesT 2023. 4. 26. 17:48

관계대명사

관계사(Relative)는 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접속사의 역할을 하며, 동시에 주격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주어 역할을 하는 문법요소이다. 관계사 중에서 대명사의 성격을 지닌 것을 관계 대명사라고 부른다.

 

1. 관계 대명사를 이용하면 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두 문장에서 중복되는 부분을 찾고, 둘 중 하나를 삭제한다음, 빈 공간을 관계사로 메워준다.

2. 연결 과정에서 원형을 보존한 문장을 주절이라고 하며, 주어나 목적어가 삭제당하고 관계대명사가 덧씌워진 문장을 종속절이라고 한다.

3. 종속절에서 삭제되는 부분을 주어일 수 도 있고, 목적어 일 수도 있다. 관계 대명사를 어떤곳에 사용하느냐에 따라 주격 관계대명사와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나뉜다.

4. 목적격 관계사는 생략 가능하다.

5. 종속절의 끝부분에 전치사가 있을 경우 관계 대명사 앞으로 옮길 수 있다.

6. <전치사+관계사> 형태는 관계부사로 축약할 수 있다.

예시) in which → where

7. 관계대명사 뒤에 오는 문장은 구성이 불완정하다. 관계부사뒤에 오는 문장은 구성이 완전하다.

8. 관계대명사 앞에는 보통 선행사가 될 수 있는 명사가 온다.

Jane is reading the wiki.
(제인은 위키를 읽고있다.)
It has useful information.
(그것에는 유용한 정보가 있다.)

위와 같은 두 문장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Jane is reading the wiki / it has useful information

둘중 it은 삭제한다. 남아있는 the wiki는 선행사라고 부른다.

Jane is reading the wiki (____) has useful information

It을 제거한 곳에 구멍이 생겼다. 이를 메꾸기 위하여 선행사 뒤에 관계대명사를 추가한다.

 

이제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 올바르다. 여기서 which는 서로 다른 두 문장을 연결했으므로 접속사의 기능을 수행하며, which가 it 대신에 쓰였으므로 대명사의 기능도 수행한다.

 

선행사
주격
소유격
목적격
사람
who
of whom/whose
who(m)
사물, 동물
which
of which/whose
which
모든 대상
that
-
that
사물
what
-
iwhat
who (선행사가 사람인 경우)
주격: The one who ate my chocolate was Chaewon
소유격: I met Wonyoung whose eyes are attractive.
목적격: The criminal was Yena, whom we had trusted.
which (선행사가 사물인 경우)
주격: We built the house which has three rooms.
소유격: I saw a mysterious animal whose legs are ten.
목적격: I'm going to make chocolate which Chaewon likes.

that은 선행사가 사람이건 아니건 모두 쓸 수 있지만 선행사가 아래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주로 that을 사용한다.

: 최상급, 서수, 의문사, 선행사가 all, every, no, only, the same, the last등의 수식을 받을 시, 선행사가 사람 + 사물/동물일 시 (단 소유격에서는 사용 불가)

that
최상급: In the test, Cheawon and I had the best grades that would qualify us for entering this year`s national geography competition. (그 시험에서, 채원과 나는 우리에게 올해의 전국 지리 경시대회에 참가할 자격을 주는 가장 좋은 성적을 얻었다.)
서수: Mokpo is the first city that was promoted to "city" in Jeollanam-do (목포는 전라남도에서 시로 승격한 최초 도시다.)
사람+동물(사물): I saw a boy and dogs that played frisbee.
all, -thing, the only, the same, the very 뒤: Thank you for all that you did for me.

관계부사

 

추가적으로 관계 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맨 끝에 전치사가 목적어 없이 혼자 남는다면 이를 관계대명사 앞으로 보낼 수 있다. 예시를 보자.

This is the house.
I have lived in the house

이 때 the hosue가 중복되므로 하나를 삭제하고 빈자리에 관계대명사를 추가한다.

그리고 in이 목적어 없이 덩그러니 놓여있기 때문에 이런경우 전치사를 관계대명사 앞으로 옮길 수 있다.

This is the house which I have lived in.
This is the house in which I have lived.

이 in which를 축약하여 where 로 줄일 수 있는데, 그게 바로 관계부사이다.

선행사
관계부사
전치사 + 관계대명사
시간
when
at(on, in, during) which
장소
where
in(on, at, to) which[13]
이유(the reason)
why
for which
방법(the way)
how
by/in which
모든 선행사
that
무수히 많음

when: 선행사가 시간과 관련된 말일 때 사용된다.

when
I`ll not forget this day when I first met Chaewon

where: 선행사가 장소와 관련된 말일 때 쓰이지만, 사용폭이 상당 히 넓다. atmosphere(분위기)나 circumstance(상황) 같은 것도 전부 받을 수 있다. 아래 문장에서 is 와 같이 불완전해보이는 문장이 들어와도 되는 이유는 be가 "있다"라는 1형식 동사로 쓰였기 때문이다.

where
They have gone to Jeongseon where Gangwon Land is.
(→ They have gone to Jeongseon. Ganwon Land is in Jeongseon.)

why: 선행사가 특정한 이유를 나타낼 때 쓰인다. when이나 where등에서는 다양한 선행사가 쓰이지만 why는 선행사가 거의 reason으로 고정된다. the reason why - 로 쓰는것은 후술할 how와는 다르게 문법적으로 허용이 가능하다.

why
That Chaewon helped me much in the early 1st semester of 1st grade is why I love her

how: 선행사가 특정한 방법이나 정도를 나타날 때 쓰여야 맞겠지만, how는 선행사 까지 다 해먹는다. 즉, the way how - 와 같은 표현은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how
Reading the book will teach you how you should use relatives.

What 이라는 관계 대명사는 "the things which/that"이 한단어로 줄어든 것으로, what이 선행사를 포함한 구조이다. 그래서 수식을 하는 다른 관계대명사와 달리 불완전한 명사절을 이끈다.

 

예를 든다면 아래와 같다.

Chocolate is what Seojin likes.

유사관계대명사

 

원래는 관계대명사가 아니지만, 특정상황에서만 관계대명사로 쓰이는 것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but, as, than이 있다.

토익에선 등장하지 않지만 고난도 영어시험에서는 자주 등장한다.(TEPS, TOFEL, GRE)

 

But : 부정어구가 포함된 선행사일 때만 관계사로 쓰인다.

There is no one but knows him. (그를 모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 There is no one who doesn`t know him)

특징은, but은 이미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but이 이끄는 절 안에 굳이 부정어를 쓰지 않는다.

 

As : such, the same이 포함된 구가 선행하고 등장할 때만 관계사로 쓰인다. 아래는 주격으로 쓰이는 예문이다.

Don`t trust such friends as praise you to your face. (얼굴로 너를 칭찬하는 친구를 믿지마라.)
As many men as came were caught. (왔던 사람들의 수 만큼 붙잡혔다.)
This bus was late again, as is often the case. (이 버스가 또 늦었는데, 이는 종종 일어나는 일이다.)

아래는 목적격으로 쓰이는 예문이다.

Don`t read such books as you don`t understand. (이해하지 못할 책은 읽지마라)
That is the same watch as I lost yesterday. (그건 어제 내가 잃어버린 시계와 같은 시계이다.)

Than : more이 포함된 구가 선행사로 등장할 때만 관계사로 쓰인다.

than의 본래 의미인 "~~보다 더"에서 파생된 용법이다.

He spends more money than he earns.(그는 버는 돈 보다 더 많은 돈을 사용한다.)
Don`t say more words than are necessary. (필요 이상으로 더 많은 말을 하지 마라.)

복합관계대명사

 

복합관계대명사는 관계대명사 뒤에 '-ever'가 붙은 것 들로, any~(어떤 ~든지)의 의미를 가지는 명사절도, no matter의 의미를 가지는 양보의 부사절도 이끌 수 있다. 의미가 2개이니 복합이다. whichever, whatever는 뜻이 같은데 whatever는 가르키는 대상이 두루뭉실하고, whichever는 특정한 대상을 가르킨다. 선행사를 포함하며, 자기가 선행사까지 다 해먹는다. (관계대명사 what과 비슷함)

복합관계대명사
명사절일 때 의미
부사절일 때 의미
whoever
anyone who
no matter who
~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누가 ~하더라도
whichever
any thing that
no matter which
~하는 것은 어떤 것이든지
어느 것이/을 ~하더라도
whatever
anything that
no matter what
~하는 것은 뭐든지
무엇이/을 ~하더라도
whoever
명사절: In a shelter, charities supplied meals to whoever is starving (대피소에서 자선단체는 굶주리는 사람 누구에게나 식사를 제공한다.)
부사절: I`ll love only her whoever tempts me. (누가 날 유혹해도 그녀만을 사랑하겠다.)
whichever
명사절: Choose whichever you like. (먹고 싶은 것은 어떤 것이든지 골라라.)
부사절: Whichever you buy from him, you`ll be cheated. (그로부터 어떤걸 사든지, 넌 사기당할 것 이다.)
whatever
명사절: I'll do whatever you order. (네가 시키는 것은 뭐든지 할게.)
부사절: Whatever you tell me, I won`t be with you. (네가 뭐라고 말해도 나는 너랑 같이 안 있을거야.)

 


That의 역할 구분

 

That은 지시사, 관계대명사, 접속사 등의 많은 역할을 담당한다. 본 포스팅에서는 많이 헷갈려하는 관계대명사 및 접속사, 동격의 that의 역할을 구별해보도록 하겠다. 사실 관계대명사와 접속사의 용법은 완전히 다르며, 정말 우연히 모양이 같은 것 뿐, 완전하게 다른 역할을 한다. (관계대명사에서도 that은 쓰이지만 who나 which의 형태로도 많이 쓰이고, 접속사에서도 수 많은 용법중에 명사절을 이끄는 that일 뿐 이다.)

관계대명사 (형용사): I know the man that has a gun. (형용사이므로 that절은 불완전)
명사절, 접속사 (명사) :I know (that) the man has a gun. (명사절이므로 that절은 완전)
명사절, 접속사, 동격 (부사): The rumor that he had killed himself was proved false. (that절 없어도 해석가능 / that 생략불가, which로 변경불가)

위 두 개의 예문을 봤을 때 같은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이지만,

 

첫번째 문장의 that은 두 문장에서 중복되는 것 하나를 지우고 that을 넣은, 전형적인 관계대명사적 용법이다.(즉, 형용사적 용법 - 꽃이 아닌 빨간 꽃이라고 말하므로서 꽃의 범위를 한정시키는 형용사적 역할을 한다.)

 

두번째 문장의 that은 I know ~ 라는 문장과 The man has a gun. 이라는 문장을 연결해주는 명사절으로 사용되었다. (사실 완벽하지 않은 문장을 연결해주기 때문에 접속사가 될 수 있을까싶지만 종속접속사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세번째 문장은 접속사적 용법이지만 동격 역할을 하며, 문장구성상 없어도 되므로 사실상 부사적 역할을 한다. idea, belief, opinion, fact뒤에 오는 that은 전부 동격의 that이며, that이 동격으로 온다면 생략할 수 없고 which로 바꿀 수도 없다.

 

 

https://min-amable.tistory.com/218

 

관계대명사 that, 접속사 that 의 차이점 / 관계대명사 that, 접속사 that 역할

that은 지시사, 관계대명사, 접속사 등 많은 역할을 담당하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많이 헷갈려하는 관계대명사로서의 that과 접속사로서의 that을 구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문법 파트 중에서

min-amable.tistory.com

https://namu.wiki/w/%EA%B4%80%EA%B3%84%EC%82%AC

 

관계사 - 나무위키

철수는 옷을 입고 외출하였다.철수의 어머니가 철수에게 옷을 사주었다.-> 철수는 어머니가 사준 옷을 입고 외출하였다. 위에 나타난 예시처럼 관계사를 적절히 사용하면 두 문장을 하나로 합쳐

namu.wiki


관계대명사의 계속적용법

제한적용법과 대조되는 쓰임으로

1) 문장뒤에 콤마(,)가 있으므로 구분이 가능하며

2) 계속적용법에서는 that, what을 사용할 수 없다. (올바른 쓰임인 ,which를 기억하자!)

3) 선행사를 문장 전체로 받을 수 있다.

4) 의미적으로 선행사를 제한하는 것이 아닌(제한적용법) 계속해서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