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공학, CFD 기초, 설계기법/금형기술

사출금형 고정측 / 가동측 분해도 및 설명

KanzesT 2022. 1. 6. 09:04

사출금형 고정측 / 가동측 분해도 및 설명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사출금형 고정측 / 가동측 분해도 및 설명

안녕하세요 인천인력개발원 SNS기자단 이재영입니다. 오늘은 사출금형 고정측 / 가동측 기본 분해도 및 ...

blog.naver.com

오늘은 사출금형 고정측 / 가동측 기본 분해도 및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천천히 하나씩 보면서 설명을 드릴게요!!!

우선 고정측 입니다. 번호에 맞게 설명을 적어놨습니다!!

☆ 고정측 분해도 ☆

—1 . 로케이트링 : 로케이트 링은 사출성형기와 금형의 중심을 맞추는데 사용되는 부품이다. 금형의 상 고정 판에 볼트로 고정하고 로케이트 링은 규격품으로 대량생산된 부품을 구매하여 사용한다.

—2. 스프루 부시 : 스프루 부시는 사출성형기의 노즐에서 흘러나오는 수지를 캐비티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사출 성형기의 노즐과 스프루 부시의 입구가 서로 밀착되어 있어 재료가 노즐에서 스프루의 원뿔형상의 입구를 통해서 런너로 들어간다.

—3. 상 고정측 형판 : 사출성형기의 고정측과 금형의 상 원판 사이에 고정하는 판으로 상 고정측 형판이라고 한다. 로케이트링 및 스프루 부시등의 위치를 가공한다.

—4. 가이드 부싱 : 가이드 부싱은 금형이 닫혀질 때 가동측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핀의 안내의 역할을 한다. 또한 가이드 핀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오일레스 부싱을 선택하기도 한다.

—5. 상 원판 : 상 고정측 형판과 조립되는 형판을 상 원판이라고 한다. 스프루 부시와 캐비티가 조립되는 부분이다.

—6. 캐비티 : 제품을 성형시키는 금형의 공간 부분을 말한다. 노즐, 스프루,런너,게이트를 통해서 캐비티로 들어오는 수지가 여기서 성형이 이루어 진다. 생산성에 따라서 캐비티의 재질이 달라지기도 하고 가격적인 면에서도 차이가 발생한다.

가동측 분해도 입니다.

—7 . 코어 : 가동측 형판(금형)에 볼록하게 만들어진 형상을 말한다. 금형이 닫히면서 캐비티와 코어가결합되어 제품의 형상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준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간을 ʻ코어ʼ라고 부른다.

—8. 가이드핀 : 주로 가동측 형판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측 형판과의 정확한 결합이 되도록 가이드 해 준다. 상대 금형의 가이드핀 부시에 결합된다.

—9. 하원판 : 금형의 가동측 상부판으로 코어를 구성하고 있고 가이드핀 등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측형판과 함께 파팅 라인을 형성한다.

—10. 리턴핀 : 이젝터 핀이 제품을 밀어낸 다음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하는 핀으로 이젝터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있다. 금형이 닫힐 때 고정측형판(캐비티 금형)에 닿아서 뒤로 움직인다.

—11. 이젝트 플레이트 상판: 이젝터 핀, 이젝터 리턴핀, 스프루 록 핀 등을 조립할 수 있게 카운터보어가 만들어져 있다.

—12. 이젝트핀 : 금형이 열리고 나서 제품이 빠지도록 제품을 밀어내는 핀을 말한다. 이젝터 플레이트들에부착되며 이들과 함께 움직인다.

—13. 받침봉

—14. 이젝트 플레이트 하판 : 이젝터 핀, 이젝터 리턴핀, 스프루 록 핀 등을 받치며 고정시키는 받침판으로 상부이젝터플레이트와 볼트로 체결되어 있다.

—15. 스페이스 블록 : 받침판과 하부취부판 사이에 위치하며 이젝팅핀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준다. 또한 사출압으로부터 형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16. 가동측 설치판 : 금형의 가동측 부분을 사출기의 다이플레이트에 부착하는 플레이트를 말한다.